■ 진행 : 조태현 앵커, 조예진 앵커 <br />■ 출연 : 허준영 서강대 경제학부 교수 <br /> <br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START]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br /> <br /> <br />정부의 세 번째 부동산 대책 이후 파장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서울시와는 물론이고, 당정 사이의 이견도 곳곳에서 감지되는데요. 정책이 이렇게 흘러가도 괜찮은 걸까요? 다양한 경제 소식 짚어보겠습니다. 스타트경제, 오늘은 허준영 서강대 경제학부 교수 나오셨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br /> <br /> <br />부동산 대책을 저희가 연일 이야기하고 있는데요. 어쩔 수 없이 그렇게 되는 것 같습니다. 시장이 하도 혼란스러워서 그렇게 되는데 일단은 10.15 부동산 대책에 대한 평가부터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초초초강경 수요 억제책이다. 괜찮을까요? <br /> <br />[허준영] <br />단기적으로 꼼짝 마. 너무 최근 들어서는 상승어폭이 가팔라지고 있으니까, 서울 한강벨트 중심으로. 꼼짝 마인 것 같고요. 생각보다 강력한 대책이라는 것 저도 동의하고요. 그런데 문제는 결국은 이것의 엑시트 플랜이 무엇이냐를 생각을 해봤을 때 어느 순간까지도 계속해서... 사실 사람 마음이라는 게 조금 더 자기가 상급지로 옮겨가고 싶고 아이들 교육 좀 더 좋은 데서 시키고 싶은 마음이 있잖아요. 그런데 움직이지 마라고 해놓고 이걸 언제까지 움직이지 말라고 할 것인지에 대한 첫 번째 이슈인 것 같아요. 퇴로가 무엇이냐라는 이슈인데 예를 들어서 제가 최근 들에서 주택 가격이 가장 많이 올랐을 때였던 것이 코로나19 이후 유동성 풀렸을 때를 봤습니다. 보니까 2020년, 21년에 주택 가격이 올라가다가 그게 언제 꺾였냐 하면 중반기 넘어가면서 23년까지 꺾였더라고요. 왜 꺾였나 보니까 외부에서 인플레이션이 들어오면서 금리가 올라가고 그리고 주택 가격에 대해서 생각할 때 아주 중요한 것 중의 하나가 현재 금리도 중요하지만 향후 금리가 어떻게 될 가인가가 굉장히 중요하지 않습니까? 그런 측면에서는 사실 그 당시에 경제 주체들이 인플레이션 발생으로 인해서 미국도 그렇고 전반적으로 금리고 좀 올라갈 거다라고 생각했을 때 주택 가격이 한 번 꺾였거든요. 그런 측면에서는 우크라이나 전쟁이나 미국발 인플레이션 이런 것들을 생각해 봤을 때 뭔가 외생적으로 들어오는 것에 의해서 주택 가격이 ... (중략)<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510210728459177<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